광주시교육청, ‘5·18 퇴학생’ 전수조사 착수
“5월 이전 대상자 선정”…‘학교협의’ 등 관건
“희생자 명예회복 첫 걸음, 광주발 전국화 기대”

▲ 상무지구에 세워진 5·18 기념공원 ‘학생기념탑’. ‘5·18민주화운동 학생 관련자 명단(280여 명)’이 새겨져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이 명단을 근거로 학교의 중퇴 관련 서류를 확인하고 당사자 또는 가족에게 연락을 취해 동의를 얻은 뒤 졸업장 수여 대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5·18 민중항쟁 40주년을 맞아 당시 학교를 떠나야 했던 학생 참여자들에게 ‘명예졸업장’을 선물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들 중에는 시대적 분위기 탓에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퇴 처리된 경우가 속속 확인되고 있어(관련기사 본보 12월16일 ‘5·18 퇴학생들 명예회복을…’) 이제라도 졸업장을 수여해 명예를 회복시키자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13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5·18 참여 학생들에게 졸업장을 수여하기로 하고 ‘5·18 퇴학생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광주시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관계자는 “올해 5·18 40주년을 맞이한 만큼 항쟁에 참여해 퇴학 처리, 자퇴를 하게 된 사례들을 찾고 이 분들의 명예를 회복시키자는 데 교육청도 동의했다”며 전수조사의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5월까지는 전수조사를 마치고 대상자를 선정해 졸업장 수여도 진행할 예정”이라며 “5·18 기념공원 기념탑에 새겨진 5·18 학생 관련자들의 명단을 1차 자료 삼아 각 학교 협조를 얻어 사실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여 기준·대상자 규모 등 미정

 2005년 경 5·18 기념공원(광주 상무지구)에 세워진 ‘학생기념탑’에는 ‘5·18민주화운동 학생 관련자 명단(280여 명)’이 새겨져 있다.

 교육청은 이 명단을 근거로 학교의 중퇴 관련 서류를 확인하고 당사자 또는 가족에게 연락을 취해 동의를 얻은 뒤 졸업장 수여 대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명단은 민주화운동 보상법 시행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 이후 5·18 관련자가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커 전수조사 기간이 예상보다 더 소요될 수도 있다.

 또한 관련자가 사망했으나 유가족들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나올 수도 있어 대상자에서 누락될 여지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교육청은 올해 5월 이전까지 취합된 5·18 퇴학생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졸업장 수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5·18 구속부상자회와 5·18 유족회 등의 협조 검토 중이다.

 졸업장 수여 기준을 어디로 둘지, 이번에 몇 명을 대상자로 선정할지, 그리고 수여 방식은 어떻게 진행할지 등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광주시교육청이 앞서 마무리한 ‘5·18 희생 학생 추모사업’에서도 ‘명예졸업장’ 수여가 포함됐던 만큼 이후 진행 방식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상무지구에 세워진 5·18 기념공원 ‘학생기념탑’. |||||

 시교육청은 지난 2015년부터 민주화 시위에 참여하거나 시민을 구하러 헌혈하고 나오다 총격으로 사망하는 등 총상 사망자들을 대상으로 ‘5·18 희생 학생 추모사업’을 전개해 왔다.

 16개교 18명의 희생자가 다니던 학교에서 이들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진행하고, 추모비 설립·명예졸업장 수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추모 사업을 진행해 왔다.

▲“희생자 명예회복 첫걸음, 전국화 기대”

 ‘5·18 퇴학생 졸업장 수여’를 주장해 온 김향득 5·18 사진작가는 “올해 5·18 40주년을 맞아 거창한 행사도 좋지만, 우리 주변 5·18 관련자라는 이유로 졸업을 못하고 살아온 개인들의 삶을 주목하고 이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히며 교육청의 결정을 환영했다.

 이어 “실제로 최근까지 만나본 당사자나 유가족들은 자신들의 잘못으로 학교를 떠난 게 아니면서도 떳떳하게 진실을 밝히지 못하고 숨죽여 온 세월 때문에 무뎌져 있거나 학교의 부당한 조치에 대한 억울함과 분노가 남아 있는 것 같다”며 “현재의 5·18이 하루라도 빨리 이들의 상처를 보듬고 더 큰 틀에서 화합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5·18 퇴학생들이 광주만이 아니라 전국에 흩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중·고교 이외에 대학생들의 퇴학 사례도 드물지 않다”며 “광주시교육청을 시작으로 각 지자체, 교육부가 함께 5·18 퇴학생 찾기에 나서준다면 개인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는 가운데 진정한 의미의 5·18의 전국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향득 작가는 본인 역시 고교생 신분으로 5·18에 참여했다 군영창으로 끌려갔던 시민군 출신으로 ‘5·18 퇴학생’ 확인을 위해 자진해 5·18민주묘지 묘역을 돌며 학생 희생자들의 명단과 학교 중퇴 여부를 대조해가며 사실 확인 중이지만, 개인 신분으로는 한계가 있어 관련기관이 나서주기를 바라고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