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난도 궁상도 인색도 아니다. `폐포파립(弊袍頗笠)’, 해진 옷에 부서진 갓일망정 꼭 쓰여야 할 자리에 놓인 자의 존엄한 얼굴. 진도 동거차도.

 `오호통재 애재애재 다락방을 청소하다/ 아차실수 손을 놓아 두쪽으로 내었으니/ 애닳도다 슬프도다 이바가지 어이하리/ 아름답고 고운자태 삼십여년 곁에두고/ 너를 사랑하였거늘 차마못내 아까워라/ 모시끈에 합쳐보자 애고애고 내바가지…’

 그 옛날 소고당(紹古堂) 고씨부인이 바가지의 죽음을 슬퍼하여 쓴 규방가사 `조표자가(弔瓢子歌)’. 명품이어서, 값이 비싸서가 아니다. 오랜 세월 동고동락한 연분을 중히 여기는 의리로, 낡고 부서지고 금가고 깨어진 것들을 잇고 꿰매고 살려내는 수많은 `고씨(高氏)부인들’이 여기 있다.

 `덜 소비하는 유전자’를 지닌 세대, 어떤 물건에도 `사망선고’는 좀체 하지 않는 `명의’들의 솜씨를 어매들의 `살림’에서 만난다. `차생연분 미진하여 노끈으로 합친용모’들, 어여쁘고 순정하다.

 못쓸 것들 많은 이 몹쓸 세상에서 지극한 정과 살뜰한 손길로 찾아낸 `쓸모’. 사람이든 물건이든 쓸 만하고 마땅하고 흡족한 것들에 전라도 어매들이 내어놓는 긍정과 치하의 말씀을 능히 받을 만한 명품들.

 “쓰겄다!”

글=남인희·남신희 ‘전라도닷컴’기자

사진=박갑철·남인희·남신희 ‘전라도닷컴’ 기자

※이 원고는 월간 `전라도닷컴’(062-654-9085)에도 게재됐습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