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공동체 : 나주 시리아 가족

 Many international residents voluntarily move to the Gwangju area to work or to study. For others, the story is more complicated.

 Since 2011, a small Syrian community has grown around Naju and Western Gwangju, mainly coming to work as exporters of Korean secondhand auto parts, popular in Middle Eastern countries. Since 2015, more Syrians have been arriving - not by choice, but as refugees fleeing the worsening conflict in their home country. The existing community cannot return to Syria, and an influx of new families has come to Naju, with some moving on to other Korean cities.

 In November 2015, called by relatives already settled in Korea and drawn to Naju’s inexpensive housing prices, the family of Omar Sharabati spent five days in Shanghai, China before applying for a visa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finally moving to the South Jeolla city.

 Driving from their home in Aleppo to the airport in the capital city of Damascus, the family sustained a bomb attack in which they lost their oldest son, Mustapha. Sharabati survived with severe wounds, particularly on his leg, landing him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upon arrival in Korea.

 One year later, Sharabati and his wife, Nadra Hamwi, are living in a small house in Naju with three of their remaining children: twelve-year-old Ibrahim, seven-year-old Khadija and baby Mohamad Nour, born this past August.

 Their oldest daughter Majian lives with relatives in another city. On the wall behind their couch hang four awards from nearby Yeonggang Elementary School, where Ibrahim attends school and has quickly learned to communicate in Korean and make friends with his classmates.

 Khadija has not yet been accepted to school.

 In Korea, the biggest obstacle that the family faces is receiving recognition as refugees, which also prevents them from obtaining health insurance. As a family living with a temporary ID card, they must continuously reapply for refugee status under a G-1 visa, returning to the immigration office every year.

 Adding to these difficulties, Sharabati’s health problems prevent him from working in the auto parts business. Moving to a bigger house in Gwangju or Naju to find work and support a larger family requires a large key money deposit. When Hamwi was pregnant and giving birth, a Naju committee provided temporary assistance, but Sharabati says it is not a long-term solution.

 Sharabati shared his perspective. “I do not like looking for help with money. I want to work. If I can work, I do not need someone to give me the money. The associations promise, but nobody can offer it.”

 Despite the difficulties, Sharabati says they will stay in Korea until the Syrian situation is better. As Muslims, the family continues their religious practice in Korea. When Sharabati’s condition permits, he travels the 35 kilometers to attend services at Gwangju’s main mosque, located near the Lake Park in Yangsan-dong.

 When he first began riding the bus between Gwangju and Naju, Sharabati experienced a language miscommunication with the bus driver over the increased bus fare going back home to Naju. Now, Ibrahim and Khadija are also proud city bus riders, showing off their T-Money chips on their plastic watches.

 Back in Aleppo, Sharabati ran a successful patisserie and the family owned their own house and land. During this year’s GIC Day in the May 18 Democracy Square on October 16, he and his son had a food both where they sold many Syrian baked goods, receiving a positive reaction from the community. He hopes to be able to continue selling his breads and desserts in some way while living in Korea.

 From the Syrian perspective, looking at Korea’s present situation, Sharabati urges Koreans to preserve their country. “When we were in Syria before, everything was fine. Then, totalitarianism came, demonstrations started and nobody could control it.

 Koreans will decide what they want. But I see that, in Korea, there is more democracy. In Syria, when the people demonstrated, the army killed everyone. So I respect Korean democracy. In Seoul, you can make a demonstration and say what you want and nobody can kill you.”

 As for the situation in his home country, Sharabati shared that the recent U.S. presidential election is a cause for hope. “I wish for peace in Syria, like it was before 2011, when everyone lived together. The new U.S. president discussed and said maybe he would find a solution for Syria.”

 Words by Anastasia Traynin

 Arabic-English Interpretation by Mohammed Laaribi

 Photos by Namhee Cho

 

 Interpreter Mohammed Laaribi, 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usiness PhD student and native of Morocco, has assisted Omar Sharabati and his family with language and logistical needs, since their first meeting at Gwangju Immigration Office in November 2015.



-<원문해석>-

 많은 외국인 주민들이 일과 학업을 위해 광주로 이사옵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의 사연은 훨씬 복잡합니다.

 2011년부터 작은 규모의 시리아 커뮤니티가 나주와 서광주 지역에서 성장해왔습니다. 대다수가 중동 국가에서 인기가 많은 한국의 중고차 부품 수출업자들입니다. 2015년 이후로는 더 많은 시리아 사람들이 오고 있습니다. 이들은 악화되고 있는 시리아 분쟁에서 도망 온, 선택권이 없는 난민들입니다. 이전에 있었던 이들은 시리아로 되돌아 갈수 없고, 새로운 가족들은 나주로 밀어닥치고, 어떤 이들은 한국의 여러 도시들로 옮겨 가고 있습니다.

 2015년 11월, 먼저 한국에 정착하여 비싸지 않은 집값에 끌려 나주로 온 한 친척이 Sharabati 씨 가족을 불렀고, 이들 가족은 인천공항으로 입국하기 전 비자 신청을 위해 중국 상해에서 5일간 체류하고 마침내 전라남도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고향인 알레포에서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 있는 공항으로 가는 동안, 가족들은 계속된 포탄 공격으로 큰아들 Mustapha를 잃었습니다. Sharabati씨는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살아나 한국에 도착하자 전남대학교 병원에 입원을 했습니다.

 1년의 시간이 흘렀고, Sharabati 씨와 부인 Nadra Hamwi 씨는 남아있는 세 아이, 12살 Ibrahim ,7살 Khadija, 지난 9월 태어난 Mohamad Nour 와 함께 나주의 작은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큰딸 Majian은 다른 도시에서 친척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소파 뒤 벽에는 Ibrahim이 다니는 영강초등학교에서 받은 상장 4개가 걸려있습니다. Ibrahim은 한국어 의사소통을 빠르게 배우고 있고, 학교 친구들도 생겼습니다.

 동생 Khadija는 아직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 가족이 한국에서 마주한 가장 큰 장애물은 난민 지위를 인정받는 것과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한다는 것 입니다. 가족은 임시 신분증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G-1 비자의 난민지위를 출입국관리사무소에 매년 계속 재신청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건강문제 때문에 Sharabati 씨는 자동차 부품 사업장에서 일하지 못합니다. 대가족을 부양하고 직장을 찾기 위해 광주나 나주의 큰 집으로 이사하려면 보증금이 많이 필요합니다. Hamwi 씨가 임신했을 때와 출산할 때, 나주시 위원회가 일시적으로 도움을 주긴 했지만, Sharabati 씨는 그것은 장기적 해결책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또한 그는 “저는 돈을 주는 식의 도움을 원하지 않습니다. 취업을 원합니다. 제가 일만 할 수 있다면, 제게 돈만 주는 분은 필요하지 않아요. 단체들은 약속하지만, 아무도 일자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라고 털어 놓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시리아의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계속 한국에 머무를 것이라고 말합니다. 가족들은 한국에서 무슬림으로서 종교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Sharabati 씨는 컨디션이 괜찮을 때면, 집에서 35km 떨어진 광주의 양산동 호수 공원 근처 이슬람 사원에 예배를 보러 갑니다.

 광주와 나주를 오가는 버스를 처음 타기 시작했을 때, Sharabati 씨는 나주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에서 인상된 요금 때문에 기사님과 문제가 있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Ibrahim과 Khadija도 시내버스를 잘 타고 다닌다며 손목시계에 장착된 교통카드 칩을 자랑합니다.

 알레포에 있을 때 Sharabati 씨는 가족 소유의 집과 땅이 있는 성공한 제빵사였습니다. 올해 10월 16일 518민주광장에서 있었던 광주국제교류의 날 행사에서, Sharabati 씨는 아들과 함께 시리아 빵을 파는 음식부스를 운영해 지역사회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그는 한국에 사는 동안 그가 만든 빵과 디저트들을 어떤 식으로든 지속적으로 판매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현 시국을 바라보는 시리아 사람의 입장에서, Sharabati 씨는 한국인들이 자신의 나라를 소중히 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우리가 전에 시리아에 있었을 때 모든 것이 괜찮았어요. 그러다 전체주의가 들어섰고, 시위가 일어났을 때 종잡을 수 없었어요.”

 “한국인들은 자신이 원하는 걸 선택할 겁니다. 그런데 한국은 훨씬 더 민주적임을 알고 있습니다. 시리아에서 사람들이 시위를 하면, 군인이 모두를 죽입니다. 그래서 나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존경합니다. 서울에서는 사람들이 시위를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말을 해도 아무도 그 사람들을 죽일 수 없습니다.”

 그는 고국 시리아의 상황에 대해 최근 미국의 대통령 선거가 희망의 계기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저는 모두가 함께 살았던 2011년 이전 같은 시리아의 평화를 소망합니다. 새로운 미국의 대통령이 시리아에 해결책을 안겨줄 수도 있으니까요.”

 글= Anastasia Traynin

 번역= Mohammed Laaribi and 손새롬

 사진= 조남희



 통역한 Mohammed Laaribi씨는 모로코출신의 전남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학생이며, 2015년 11월에 광주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Sharabati 씨 가족을 처음 만난 이후부터 아랍어 통역과 법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광주드림을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광주드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